구전마케팅의 개념–https://wmpro.io/
구전마케팅의 정의를 내리기에 앞서 먼저 구전에 대해 간단히
한자로 풀어보면 입 구, 전할 전이 합쳐져 입으로 전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구전마케팅은 버즈(buzz)마케팅과 한가지로 말하는데 인적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상품정보를 전달하는 마케팅기법으로 정의된다.
한 사람이 사용해본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다른 사람에게 그 제품이나 서비스의
긍정적인 면이나 부정적인 면에 대해 이야기를 함으로 청자가 그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한다는 것을 마케팅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구전마케팅이라고 한다.
연구자들이 내린 정의를 살펴보면 Borgida 와 Nisbett에 의하면
구전은 개인들의 경험에 기초한 대면(face to face)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하였으며,
Arker & Myers는 구전커뮤니케이션을 광고의 수신자가 친구나 동료에게
이야기함으로 때때로 정보의 원천이 되는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Dichter는 구전의 관계를 광고자와 독자의 관계로 변환하여 광고자를 발신자로,
독자를 수신자로 정의하여 구전의 개념을 확대하고 있다.
황의록은 소비자들이 이해관계를 떠나서 자신의 직간접 경험을 비공식적으로
교환하는 활동 혹은 행위라고 했다.
이를 종합해 보면 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입소문을 통해서 기업의 이윤을 얻고자 하는
마케팅을 말한다.
구전마케팅은 사람들이 알게 모르게 이야기하는 입을 광고의 매체로 이용하는 것이다.
소비자들의 입소문을 통해 상품이 화젯거리로 자연스럽게 부상하게 되고,
전염성이 강한 입소문을 무기로 해서 사전에 특별한 홍보나 광고 없이도
상품의 경쟁력을 키우는 것이다.
구전의 본질은 기업이 먼저 부추기지 않아도 소비자들이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상품을 전파한다는 점이다.
구전마케팅은 입소문 마케팅, 버즈(Buzz)마케팅, 바이러스마케팅이라고도 말한다.
버즈 마케팅이란 한 마리 벌이 꽃을 발견했을 경우 자신의 날개로 윙윙 소리를 내면
여러 마리의 벌 들이 몰려와 같이 꽃을 찾는 현상에서 착안한 이름으로
버즈마케팅과 바이러스 마케팅은 구전마케팅과 실제 적용하고 있는 범위에
다소 차이는 있으나, 입을 수단으로 하는 말이
개인 소비자의 인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를 통해 또 다른 소비자들에게
전달하는 행위라는 점에서 모두 같은 의미의 마케팅이라 할 수 있다.
구전은 기업이 먼저 부추기지 않아도 소비자들이 자발적으로 상품을 전파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광고나 판촉 활동에 비해 그 효과는 훨씬 크면서도 비용은 거의 안 든다는 장점을
갖추고 있어 큰 힘을 가지고 있다.
구전(word of mouth)은 자연스런 사회적 현상인데 그것이 물건 판매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것을 마케팅에 활용하는 것을 ‘입소문 마케팅’으로 정의하고 있는데,
인류가 물건을 상업적으로 팔기 시작할 때부터 사용한 최초의 마케팅 수단이다.
구전은 두산 엔사이버 백과사전에서는 스승이 제자에게 무언가를 가르쳐 줄 때
글이나 다른 것으로 가르쳐 주는 것이 아니라 입으로 전해주는 것으로부터
시작 되었다고 한다.
구전을 이용한 마케팅은 인류가 물건을 상업적으로 팔기 시작할 때부터
사용한 최초의 마케팅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1928 ~ 1941년 아이오와주 농민들 사이에서 잡종 옥수수 종자가
빠르게 전파된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써, 구전에 관한 최초의 연구는
1954년 Fortune지에 소개된 William H. Whyte에서부터 시작되었다.
Whyte는 필라델피아 교외에서 에어컨의 확산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제품의 구매가
이웃 간의 구전커뮤니케이션의 결과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구전마케팅에 관한 연구의 유래를 들어보자면 입소문으로 팔아라의 저자인
엠마뉴엘 로젠은 1988년 소프트웨어 회사에서 근무할 때 연구자들을 위한
참조 도구인 엔드노트라는 제품을 만들고 있었다.
당시 제품은 발표되지도 않았으며, 광고 한 번 하지 않았었는데
우편으로 첫 주문이 들어 온 것이다.
주문자는, 제품 시사회에 참석했던 어느 한 사람이 그 제품에 흥미를 느껴
학자들이 이용하는 전자 게시판에 내용을 올렸으며
그걸 본 사람이 첫 번째 고객이 된 것이었다.
그 후 20만 개 이상의 엔드노트가 팔렸으며 고객 대부분은 광고가 아닌 친구나 동료들에 의해
제품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광고나 그 외의 여러 기업에서 드러낸 정보에 의해 사람들이 제품을 구매했어야 하는데
여기선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던 것이다.
이 사례를 바탕으로 구전마케팅에 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출처 자료: 온라인 파워볼사이트 커뮤니티-